홈페이지를 만들려는 분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중 하나는
노코드 툴로 만들까, 아니면 커스텀 개발을 해야 할까? 입니다.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명확해서,
내가 원하는 결과물의 성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방식의 차이점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 노코드 개발이란?
노코드 개발은 대표적으로 WordPress, Wix, Webflow, Shopify처럼
코드를 거의 몰라도 홈페이지나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방식입니다.
디자인 빌더나 블록 편집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요.
✅ 장점
- 개발 지식 없이 빠르게 제작 가능
- 유지보수와 수정이 쉬움 (특히 워드프레스 빌더 활용 시)
- 초기 비용이 저렴함
- MVP(최소 기능 제품) 제작에 최적화
❌ 단점
- 복잡한 기능 커스터마이징에는 제약
- 트래픽이 많거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성능 이슈 발생 가능
- 디자인이나 인터랙션이 제한적일 수 있음
💻 커스텀 개발이란?
커스텀 개발은 디자인부터 기능까지 전부 맞춤으로 제작하는 방식입니다.
React, Vue, Next.js, Laravel, Django 등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완전히 내가 원하는 대로 구현이 가능합니다.
✅ 장점
- 기능과 디자인에 제약이 없음
- 퍼포먼스, 보안, 확장성에서 우위
- 특정 비즈니스 로직이나 복잡한 구조 구현에 적합
❌ 단점
- 개발 기간이 길고 비용이 높음
- 유지보수 시 개발자의 도움이 필요
- 초기 구축이 부담될 수 있음
💡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을까?
항목 | 노코드 (예: 워드프레스) | 커스텀 개발 |
---|---|---|
예산 | 💰 낮음 | 💸 높음 |
개발 속도 | ⏱ 빠름 | ⏳ 느림 |
수정/운영 | 🙆♀️ 직접 가능 | 👨💻 전문가 필요 |
기능 복잡도 | ⚠️ 제한적 | 💡 자유로움 |
확장성 | 🧩 보통 | 🚀 우수 |
✨ 코드벤터의 제안
저희는 워드프레스를 기반으로 노코드 + 커스터마이징을 유연하게 결합하는 방식으로
많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빠르게 런칭하고 싶은 스타트업 → 워드프레스 + 빌더로 MVP 구축
- 특정 기능이 필요한 기업 → 빌더 + PHP/JS 커스터마이징 + 맞춤형 플러그인 제작
- 대형 플랫폼 or API 기반 서비스 → 커스텀 개발로 확장(워드프레스 관리자와 CMS기능만 사용하는 방식)
상황에 맞는 전략을 함께 고민하고,
빠르면서도 유지 가능한 홈페이지를 제안드립니다.
홈페이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노코드로도 충분할지, 커스텀이 필요한지 함께 이야기 나눠보세요.
대구, 서울 등 다양한 고객사와의 협업 경험으로
당신의 서비스에 꼭 맞는 방법을 안내해드릴 수 있습니다.